티스토리 뷰
목차
깜빡하고 납부 기한을 놓친 경우, 재산세 기한 후 납부가 가능합니다.
이 글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재산세 기한 후 납부 방법과 가산세 감면방법 확인하고 납부 진행해 보세요~!
1. 재산세 기한 후 납부 방법
기한이 지난 후에도 재산세를 납부하는 방법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아래의 절차를 따르면 기한 후에도 납부가 가능합니다.
■ 온라인 :인터넷 납부
위택스(Wetax) 또는 인터넷지로 홈페이지에서 기한 후 납부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에 접속한 후, 재산세 조회 및 납부 메뉴에서 연체된 세금과 가산금을 확인하고 납부할 수 있습니다.
구분 | 사이트 바로가기 |
인터넷지로 | https://www.giro.or.kr/ |
위택스 | https://www.cardrotax.kr |
홈택스 | https://www.hometax.go.kr/ |
■ 오프라인 : 은행 방문
납부 기한이 지난 재산세 고지서를 지참하고 가까운 은행을 방문하여 납부할 수 있습니다. 고지서가 없는 경우,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세무과를 통해 재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2. 카드사별 할인혜택
지방세는 카드결제 대행수수료 없으니 적극적으로 무이자 할부 혜택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아래 링크에서 각 카드사별 할부 및 할인 혜택 확인하세요.
🔽빠른 이동🔽
[BC카드 예시]
- 2~3개월 : 할부수수료 전액 면제
- 10/12개월 : 부분무이자
① 10개월 할부 : 4회차부터 할부수수료 면제(1~3회 차 고객부담)
② 12개월 할부 : 5회차부터 할부수수료 면제(1~4회 차 고객부담)
3. 재산세 기한 후 가산금
재산세 납부 기한을 넘겼을 경우, 일정한 가산세가 부과된 상태에서 나중에라도 세금을 납부할 수 있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기한 내에 납부하지 못했다고 해서 재산 압류 등의 조치가 즉각적으로 취해지지는 않지만, 기한 후 납부 시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빨리 처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가산금 종류
- 가산금 부과
재산세를 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을 경우, 기본적으로 3%의 가산금이 부과됩니다. 납부 기한이 지나면 즉시 이 가산금이 적용되며, 세액과 함께 납부해야 합니다.
- 중가산금
만약 30일 이상 연체될 경우, 매월 1.2%의 중가산금이 추가로 부과됩니다. 최대 60개월까지 적용되며, 최종적으로는 총 60%의 가산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장기간 납부를 미루는 것은 재정적으로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 가산세 감면방법
가산세를 감면받을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은 하루라도 빨리 재산세를 납부하는 것입니다. 지금 당장 완납할 자금적 여유가 없다면 지방자치단체의 세무과에 분할 납부를 신청해서 중가산금이 추가로 부과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4. 결론
재산세 납부 기한을 넘긴 경우에도 기한 후 납부가 가능합니다. 다만 가산금과 연체 이자가 발생하므로, 되도록 빠르게 납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터넷 납부, 은행 방문, ARS 납부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쉽게 세금을 납부할 수 있으니 중가산금 붙기전에 마무리하길 바라면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함께보면 유익한 정보◀
2024 종합소득세 기한후 신고 방법, 가산세 감면받는 방법 알아보기
불가피하게 기일 내 종합소득세를 신고하지 못했을 경우 '기한 후 신고'로 종합소득세를 신고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 방법과 무신고 가산세, 가산세 줄이
four.rlehgodiwl.com